■Poetry/내 작품평·해설

時調 내가 읽은 문제작'오늘의 밥 그리고 서정'중에서《유심》2011.3-4월호

이원식 시인 2011. 3. 14. 00:19

 

■時調/ 내가 읽은 문제작/ 정수자  「오늘의 밥 그리고 서정」중에서  

                                                                                  《유심》2011. 3-4월호(pp.137-138)

 

 

 

         (전략)....먹고 사는 이야기는 꼭 밥이 아니어도 절실하게 그릴 수 있다. 다음 작품은 '귤'로 삶의 한 단면을 간명하게 잡아낸 단수다.

 

 

                       좌판 한켠 쭈밋*한

                       팔고 남은 귤 몇 알

 

                       퀭한 두 눈 깊숙이

                       멍들고 깨진 생(生)들

 

                       입 속에 까 넣어본다

                       핑 도는

                       금빛 눈물

 

 

                       *쭈밋: 북한어(北韓語). 무엇인가 하려다가 문득 망설이며 머뭇거리는 모양.

 

                                                   - 이원식 <수고했다> 전문 (《시조시학》2010 겨울호)

 

 

     '귤'은 밥이 아니다. 하지만 우리네 서민의 비타민 공급을 책임지는 싸고 친근한 밥 같은 과일이다. 제주도에서는 대학나무였던 귤나무, 그의 황금 알들은 어느 가난한 골목의 조그만 가게에도 빠지지 않고 놓여있다. 그 중에도 화자가 주목하는 귤은 "좌판 한켠"의 "쭈밋한/ 팔고 남은" 귤이다. 그 정황은 상상만으로도 추위가 느껴지는 쓸쓸한 소외의 한 모습이다. 자본주의 시장에서 밀리고 결국은 버려질 위기에 놓인 교환가치가 바닥난 생이랄까. 요즘 어떤 드라마에서 뜬 표현을 빌리면, '사회 지도층'은 거들떠보지도 않는 아니 마주칠 기회조차도 없는 후미진 곳의 '소외된 이웃'들인 것이다. 그렇듯 "퀭한 두 눈 깊숙이/ 멍들고 깨진 생(生)"의 마지막 동참이라도 하듯, 화자는 귤을 집어 "입 속에 까 넣어본다". 그리고 곧바로 "핑 도는/ 금빛 눈물"로 그들과 하나되는 마음을 담아낸다. 이 구절을 단순 감상이나 과잉으로 볼 수 있지만, 여기서는 귤의 과정을 환기하며 흡인력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초, 중장에 제시한 정황을 잘 끌어안은 종장의 힘 덕분이다. 그리고 우리가 편히 쓰는 인사를 그대로 살린 "수고했다"라는 제목도 이를 넉넉하게 뒷받침해 준다. 내용에 없는 단어로 내용을 포괄하는 한편 밀려난 과정에 대한 위로 같은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런 작품은 단수로도 사회적 문제들을 얼마든지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좌판 한켠"에서 쭈그러진 채 뒹구는 "귤 몇 알"이 곧 우리 주변의 노숙자나 그 비슷한 처지의 함의로 읽히기 때문이다.♣

 

 

 

《유심》2011. 3-4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