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3분기 우수문학도서 선정 심사평을 아래와 같이 발표합니다. 총 선정도서 종수는 64종이며 아래는 장르별 전체 심사평 및 선정도서 목록입니다. -------------------------------------------------------------------------- <시> 16종 3/4분기 우수문학도서 심사대상이 된 시집은 총 68권이었으며, 4명의 심의위원이 본심에 올린 작품은 25권 이었다. 이를 집중적으로 다루면서 심의위원 사이에 오간 논의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시의 생산현장이 확대되었다. 문학의 현장이 대개 그렇지만, 시 분야에서도 몇몇 유력 출판사의 독과점 현상이 없지 않다. 그런데 이번에는 서로 다른 출판사에서 발행된 서로 다른 시리즈에 속한 시집들이 많아졌다. 이것은 시의 생산과 향유의 저변이 확대되었다는 것을 뜻한다. 둘째, 시인 각자의 각개약진이 두드러졌다. 이것은 특정한 담론이나 경향성에 휩쓸리기보다는 시인 각자의 고독하고 치열한 사유들이 생산적인 결과를 낳았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공동체의 상상력이 약화되었다. 둘째 특성과 연관되는 바이지만, 공동체 전반의 문제를 시적 중심에 두고 사유를 펼친 시집이 눈에 띄게 줄어들었다. 이것이 이번 분기만의 특징인지, 최근 시의 경향인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조금 더 생각해야 하겠지만, 우려할 만한 현상이 되지는 않았으면 한다. 마지막으로 시의 근골(筋骨)이 튼튼해졌다. 자신의 사유를 밀고 나가는 뚝심이 돋보인 시인들이 많았다. 우리 시의 생산성에 관해서는 여전히 믿음을 잃지 않아도 좋다는 증거다. 심사를 하고나면, 마지막 순간에 내려놓아야 했던 시집들이 눈에 어른거리게 마련이다. 빼어난 시집이지만 심사위원들의 안목이 미치지 못해서, 전체의 배치와 안배에 맞지 않아서, 그 자신과 중복이어서 선택되지 못한 시집들이 있었다. 송구스럽지만, 그런 고민이 많을수록 우리 시의 자산이 풍요롭다는 뜻이라고 속으로 위안해본다.
첫작품 집 첫작품 집 첫작품 집 *심의위원: 도종환, 송찬호, 권혁웅, 조용미(이상 시인)
<소설> 16종 이번 분기의 소설들은 전반적으로 수준이 높았다. 연령대로 봐서도 황석영, 전상국, 박범신, 최수철 등 원로, 중견 작가들과 김애란, 김이설, 장은진 등 신진 작가들의 작품이 고루 포함됐다. 이들의 작품은 저마다 강한 개성과 빛나는 주제의식을 지니고 있어 제한된 분량의 작품을 선정하는데 힘든 점이 많았다.
제출된 소설들을 통해서 최근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면, 단편에서 장편으로의 이동 추세가 역력하다는 점이 다. 이번에 선정된 작품들에서도 장편의 비율이 현저하게 높았다. 단편집의 출간이 주춤한다기보다는 장편의 출간이 예전보다 많아졌다고 보는 게 옳을 것이다.
한편으로는 실험적인 소설이 많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도 눈에 띤다. 이는 장편소설이 활발하게 씌어지는 현상 과 무관하지 않아 보인다. 실험적인 장편을 쓴다는 것은 독자는 물론이거니와 작가 자신에게도 강한 인내심을 요구하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는 문학적 패기와 야심을 보여주는 소설이 많지 않았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이런 풍토가 계속 이어져 한국문학의 중심이 단편소설에서 장편소설로 이동할 것인지에 대한 판단은 다음 분 기의 작품들을 더 살펴봐야만 할 것 같다.
심사에 들어온 총 작품집 수는 90권 쯤이었다. 동시집, 동화집, 청소년 소설, 청소년시집을 포함해서 였다.
않았던 것은 두 심사위원이 골라낸 작품집 15권이 겹쳐 있었다. 모두 20권을 골라야 했으므로 5권을 새 로 추리면 되었다. 그러나 문제는 그리 간단하지 않아서 이미 예선에 오른 작품집들도 다시 살펴보는 등 재심에 들어가야 했다.
<달려라, 배달민족> 등등과 동시조집 <사비약사비약 사비약 눈>이 뛰어났으며, 동화집으로 <해리엇> 등이 선정된 책들 가운데에서 다시 월등한 책으로 가름되었다. 동시집의 경우, 여러 권이 들어와 있었으나 좋은 작품집으로 선정되기에는 미흡했다. 그러나 <숫자 벌레> 등의 동시집이 아쉬움을 덜어주었다.
못한 점이다. 그러나 이만하면 그런대로 열심히 가려낸 것 아닌지 스스로 위로하는 바이다.
수필부문은 시, 소설, 희곡과 평론, 아동문학을 제외한 모든 산문문학을 포용하는 장르다. 그 형식과 내용상 으로 범박하게 분류해 보면 (1) 광의의 산문문학으로 실록. 전기. 취재. 보고문학. 인터뷰 등 여러 작품들과, (2) 좁은 의미의 산문문학에 속하는 수필. 에세이 및 전문분야 인사들의 각종 연구 활동 낙수, 그리고 수필 장르가 아닌 문학인들의 산문 활동 전체를 포괄한다. 일반 독자들의 입장에서는 소설에 뒤지지 않는 흥미와 열기로 이 분야의 도서들을 찾고 있지만 출판계는 아쉽 게도 그 욕구에 부응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문화 풍토가 그만큼 실록에 대한 추구 열기가 낮다는 뜻이다. 굴곡 많은 현대 한국사회의 증언적인 요인이 있는 글들을 우선적으로 뽑았다. 그 중에서도 연구 업적이 아닌 체험의 기록을 중요시했다. 그게 바로 산문문학의 정수이기 때문이다.
의 저서 중에서도 이런 요인을 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다. 마지막으로 순수 문예로서의 수필집도 엄선해서 포함 시켰다. 단 너무나 대중적인 인기가 높아 이미 널리 보급된 작품은 제외시켰다.
2011년 3분기 희곡평론 분야는 총 25종이 대상작이었다. 문학나눔사업추진반의 심의 과정에 따라 두 선임위 원은 각기 1차 추천도서를 선별하였고, 그 결과 12종의 대상도서로 1차 압축, 최종 심의에 들어갔다. 사실 이 번 분기의 희곡평론 분야는 다른 분기에 비해 출간종수도 상대적으로 많았을 뿐더러 무엇보다도 그 비평적 성취도도 높다는 것이 심의위원들의 생각이었다. 희곡과 평론 두 분야인지라 먼저 1권이 대상인 희곡 분야부터 논의하였다. 희곡 분야는 대개 접수된 도서 숫 자가 아주 적은 경우가 많아 지금까지 우수문학도서로 선정된 적이 그리 많지 않았다. 그런데 이번엔 그 성취 가 남달랐다. 심의위원들은 최창근의 『봄날은 간다』를 우수문학도서로 흔쾌히 합의하였다.
작업을 시작하였다. ‘문학의 저변 확대’라는 사업의 특성을 감안, 당대 문학논의를 풍요롭게 하는 현재적 비평 활동에 큰 비중을 두고 논의한 결과 자연스럽게 지나치게 이론서 혹은 논문집 형태를 취한 것이나 이미 과거 화된 비평논의들을 제외시켰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비평의 현장성과 논의의 깊이 등을 따져 한 권 한 권 압축 한 결과 최종 4권의 평론집을 선별하였다.
부득이하게 평론 분야에서 조정하게 되어 원래의 선정 결과를 지키지 못하게 되어 아쉽게 되었다. 더불어 다 른 어느 분기보다 좋은 도서가 많은 탓에 이번 선정에서 불가피하게 누락된 비평가들에게도 각별히 양해를 구하는 바이다.
|
*출처: http://www.for-munhak.or.kr/
'■Data > 문학자료·시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생진 시집『실미도, 꿩 우는 소리』 (0) | 2011.10.18 |
---|---|
설태수 시집『소리의 탑』,하 린 시집『야구공을 던지는 몇 가지 방식』 (0) | 2011.10.12 |
김세형 시집『찬란을 위하여』 (0) | 2011.09.06 |
조명제 시집『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노래』 (0) | 2011.08.31 |
상희구 시집『숟가락』, 임동윤 시집『따뜻한 바깥』 (0) | 2011.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