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여는 이정환의 아침시조/ 2007. 10. 14 『@로여는 이정환의 아침시조』혜화당 송명진 선생님께서 책 한 권을 주셨다. 이정환선생님의『@로여는 이정환의 아침시조』. 시조 100편을 선별하여 해설과 함께 실은 시조집이다. 역시 송선생님께서 책머리에 싸인을 해주셨다. 오래 간직하며 공부하라고 숙제를 주신 듯 하다. 송명진선생님께서 싸.. ■Data/시조자료·시조집 2007.11.21
유권재 시인 첫 시조집『때로는 하루도 길다』와 《불교문예》 가을호 유권재 시인 첫 시조집『때로는 하루도 길다』 가을이 되니 우편으로 책들이 많이 온다. 오늘도 시집 1권과 문에지 1권이 왔다. 굶어도 배부른 것 같은 마음에 미소 한 번 지어 본다. 《시조문학》에서 편집장을 역임하시고, 현재 시조문학진흥회에서 이사이신 유권재 시인의 첫시조집『때로는 하루도.. ■Data/시조자료·시조집 2007.11.21
윤현자 시인의 시조집『 다문다문 붉은 꽃잎』2007. 9. 6 윤현자 시인의 『다문다문 붉은 꽃잎』 고요아침, 2007. 8. 14 우편함에 시집이 한 권이 와 있었다. 윤현자 시인의 시조집 『다문다문 붉은 꽃잎』이었다. 어느 분인가 싶어 내 시집 보낸 분들 명단을 보니..... 아차! 미처 보내드리지 못한 것이 아닌가!!! 여러 협회와 단체 그리고 친분 있는 분들을 대부분.. ■Data/시조자료·시조집 2007.11.21
권영오 시인 첫 시조집 『귀항』 / 2007. 8. 24 ♣권영오 시인 시조집 『귀항』 권영오시인의 첫 시조집『귀항』이 우편으로 보내져 왔다. 권시인은 나와 같은 해에 《열린시학》으로 등단하여 공교롭게도 몇몇 문예지에 작품이 함께 게재된 이력이 있다. 만난 적은 없지만 방금 전 전화를 통한 목소리로는 밝은 시인으로 미루어 짐작 해본다. 몇 .. ■Data/시조자료·시조집 2007.11.21
11월 1일 《우리시》 2007.11월호 11월 1일 맨 처음 우편함에 도착한 문예지는 《우리시》였다. 월간지임에도 이렇게 날짜에 맞추어 독자가 볼 수 있다는 것, 《우리시》를 만들어 가는 사람들의 희생과 봉사, 근면한 문학정신을 엿볼 수 있다. 첫 장을 넘기자 표제 아래 시 한 편이 눈에 들어온다. 짙어지는 가을.. ■Data/문학자료·시집 2007.11.05
문예지 3권 2007. 10. 18 《한국동시조》24호,《대구시조》11호,《유심》가을호 오후 아들아이가 하교길 우편함에서 가지고 온 문예지 세 권이다. 어제, 그제 요모조모 분주하게 보냈는데, 열심히 책을 보지 못한 벌로 문예지 세 권이 또 추가된 것 같다.^^ 《한국동시조》는 광주에서 ,《대구시조》는 대구에서 발행되는 시조 .. ■Data/문학자료·시집 2007.11.05
『일분 후의 삶』 2007. 10. 8 권기태 저,『일분 후의 삶』,랜덤하우스 오후에 롯데백화점 지하 빵집에 들러 좋아하는 소보로빵(일명 곰보빵)을 샀다. 어떤 이유에선지는 몰라도 더 고급이고 더 고가의 빵 보다도 언제나 제일 먼저 손이 간다.^^ 현관 우체함을 보니 책이 한 권 와있다. 강릉대에서 강의를 하는 이계열 선생(시인, 문.. ■Data/문학자료·시집 2007.11.05
2007. 3차(2/4분기) 문예지게재우수작품 시 부문 선정작 작가 제목 게재잡지 강미정 꽃이 지는 일 문학마당 강영환 민달팽이 문학마을 강은교 후회 실천문학 강정 밤의 동물원 작가와사회 강희안 나탈리 망세의 첼로 시에 고성만 푸른 반점 내일을여는작가 고영 햇발국수나 말아볼까 현대시학 고영민 숨의 기원 서시 고운기 금단 시와상상 고은 인제 유심 .. ■Data/문학자료·시집 2007.11.05
주객분리와 맞서는 젊은 시인들의 미학/유성호 주객분리와 맞서는 젊은 시인들의 미학 ― 박형준, 이윤학, 이정록, 장철문의 시 ― 유성호 1. 생태학적 상상력과 탈(脫)자연적 상상력 일찍이 “무책임한 자연의 비유”를 낡은 것으로 파악하고 그것을 예민하게 경계한 시인은 기형도였다. 그러나 그는 역설적이게도 “가장 위대한 잠언이 자연 속에 .. ■Data/문학자료·시집 2007.11.05
[평론] 수필 : 감성과 지성을 통합하는 수필정신의 확대 - 유성호 수필 : 감성과 지성을 통합하는 수필정신의 확대 -유성호 Ⅰ. 수필문학의 지형 우리문학 전체의 지형 안에서 ‘수필’ 혹은 ‘에세이’가 차지하는 위치와 비중은 두가지 측면에서 이중적이다. 수필창작에 종사하는 인적구성의 폭이 매우 넓어진 데 비해서 수필에 대한 비평문화는 턱없이 영성하다는.. ■Data/문학자료·시집 2007.11.05